-해당 글은 커뮤니티에서 흔히 추천되는 덱과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직접 고민하고 다양한 정보를 참고하여 실험한 클리어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하나의 참고 예시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한의 탑 190층 살펴보기
무한의 탑 190층은 최악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체감상 1~200층 중에서 가장 어려웠다고 말하고 싶다.
리나 델론즈 아일린 파이 쥬리가 몬스터로 배치되어 있는데 아주 괴랄한 조합이다.
기본 스펙도 강력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아일린 쥬리 파이가 부활 관련 패시브를 가지고 있다.
어렵게 죽여도 벌떡벌떡 일어나는 것을 보면 정말 머리가 지끈거린다.
한술 더 떠서 CC 스킬도 가지각색이다. (침묵 / 즉사 / 화염 / 감전)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면역 영웅을 챙기는 것도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화룡점정으로 파이와 델론즈의 1인기가 진짜 말이 안 된다.
스킬 맞으면 대부분 객사하고 바로 리트로 이어진다.
“제발 파이님 스킬 쓰지 말아주세요!!” 싹싹 비는 것이 190층 공략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야말로 가장 평화로운 세계선을 찾는 게임이었다.
무한의 탑 190층 공략하기
무한의 탑 190층 클리어 덱
밸런스 진형 : 린 연희 바네사 멜키르 유신 (펫 – 연지)
연희 보진으로 트라이를 가장 많이 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딜이 부족했다.
마찬가지로 린이 앞 열에 있어도 어차피 파이한테 처맞거나 CC 걸리면 리트 나는 것은 똑같았다.
그래서 밸런스 진형으로 바꾸면서 연희의 부족한 딜을 린으로 메꾸는 방식을 채택했다.
대신 이전과 달리 라운드마다 스킬은 더 많이 써야 했다.
이렇게 되면 앞 열 유신과 바네사는 피해 면역이 있어서 어지간하면 버틴다.
멜키르도 축복 패시브가 있어서 바로 객사하진 않기 때문에 3라운드를 도전하는 세계선이 많아진다.
이런 방식으로 CC 덜 맞고, 가장 유효한 세계선을 찾아서 190층을 겨우 클리어할 수 있었다.
각 영웅 스펙 & 장비
Ⅰ – 린
착용 중인 장비 (세트효과) | 메인 옵션 | 부 옵션 |
무기1 (복수자)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무기2 (복수자) | 치명타 확률% | 모든 공격력% |
방어구1 (복수자) | 모든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방어구2 (복수자) | 모든 공격력% | 모든 공격력% |
스펙 요약) 초월 – 2초월 | 복수자 치치공공 | 궁극 강화 O | 스킬 강화 O (평타 / 스킬1 / 스킬2 / 패시브)
린 치확 : 기본 5% + 패시브 30% + 무기 24% + 무기 24% + 방어구 부옵 8% = 91%
린은 190층 공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영웅이다.
혼란으로 데미지 + CC 스킬을 모두 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을 끌어서 라운드마다 린 혼란을 박을 수 있다면 세계선 찾기가 매우 수월하다.
실제로 린이 혼란을 걸은 수만큼 일명 ‘킹기’까지 도달하는 횟수도 증가했다.
또한, 서브 딜러로 부족함 없는 딜량을 가지고 있어서 PVE의 ‘신’이라고 말할 수 있다.
2초월부터 밥값 한다고 생각하고, 궁극 강화 + 스킬 강화도 모두 필수라고 생각한다.
평타 스킬 강화도 혼란 확률이 올라가서 강화해도 괜찮다는 입장이다.
Ⅱ – 연희
착용 중인 장비 (세트효과) | 메인 옵션 | 부 옵션 |
무기1 (암살자)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무기2 (암살자) | 치명타 피해%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방어구1 (암살자) | 모든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모든 공격력% |
방어구2 (암살자) | 모든 공격력% | 치명타 확률% + 치명타 피해% + 모든 공격력% |
스펙 요약) 초월 – 2초월 | 암살자 치확치피 모공모공 | 궁극 강화 O | 스킬 강화 O (평타 / 스킬1 / 스킬2 / 패시브)
연희 치확 : 기본 5% + 4셋 30% + 무기 24% + 무기 부옵 12% + 무기 부옵 8% + 방어구 부옵 8% + 방어구 부옵 4% + 반지 6% = 97%
연희는 메인 딜러인데 주인을 잘못 만나서 날아다니지 못하고 있다.
악몽 쫄작을 위해서 태오 방어구까지 뺏어오는 만행을 저지른 친구이다.
이렇게 장비를 영혼까지 끌어왔음에도 190층 공략에 있어서 부족한 딜을 보여줬다.
그래도 밸런스 진형으로 린과 함께 사용하면서 어느 정도 보완이 됐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 평타를 2대씩 때리면서 운 좋으면 수면까지 걸어주기 때문에 2초월이 인권이라고 생각한다.
고초월 + 궁극 강화 + 스킬 강화 (평타까지) 모두 추천한다.
Ⅲ – 멜키르
착용 중인 장비 (세트효과) | 메인 옵션 | 부 옵션 |
무기1 (주술사) | 효과 적중% | 속공 + 모든 공격력% |
무기2 (주술사) | 생명력% | 속공 |
방어구1 (주술사) | 받는 피해 감소 | 속공 + 모든 공격력% |
방어구2 (주술사) | 받는 피해 감소 | 속공 |
스펙 요약) 초월 – 2초월 | 주술사 효생받받 | 궁극 강화 O | 스킬 강화 O (평타 / 스킬1 / 패시브)
멜키르는 린과 함께 PVE 신이라고 가히 불릴만한 캐릭이다.
마찬가지로 무한의 탑 190층에서 절대 뺄 수 없는 필수적인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멜키르의 마력 역류와 기절이 없었다면 아마 무한의 탑을 클리어하지 못했을 것이다.
CC 스킬이 메인이라서 주술사 효적 세팅을 했다.
PVP 컨텐츠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부옵션은 속공을 최대한 높이는 데 집중했다.
생존 관련 패시브가 있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딜이나 CC 세팅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본다.
명함으로 밥값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2초월 효율이 좋은 편이다.
스킬 강화는 패시브 -> 스킬2 -> 평타 -> 스킬1 순으로 추천한다.
필자는 클리어 시점 기준으로 스킬 강화석이 부족해서 스킬 2를 찍지 못했다.
개인적으로 PVP에서 사용하고 여유가 있다면 풀스강 추천하고 싶다.
Ⅳ – 바네사
착용 중인 장비 (세트효과) | 메인 옵션 | 부 옵션 |
무기1 (암살자) | 치명타 확률% | 속공 + 치명타 확률% |
무기2 (암살자) | 모든 공격력% | 속공 + 모든 공격력% |
방어구1 (암살자) | 깡 모든 공격력 | 속공 + 치명타 확률% |
방어구2 (암살자) | 막기 확률% | 속공 + 치명타 확률% |
스펙 요약) 초월 – 1초월 | 암살자 치공공막 | 궁극 강화 O | 스킬 강화 O (평타 / 스킬2 / 패시브)
글을 쓰면서 바네사 장비가 계륵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어떻게 이런 세팅이 탄생했고 살아가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 (심지어 결투장에서 쓰는데;;)
마법형 영웅 + 방깍 디버프 + 피해 면역 패시브(생존) + CC 스킬 보유 = 국밥
살아만 있어도 1인분 하는데 생존 패시브까지 있어서 딜 세팅을 했다.
PVP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속공 짬통으로 쓰면서 딜과 CC 스킬은 보너스 느낌으로 가져간다.
이 정도만 해줘도 PVE 컨텐츠에선 거의 죽는 일 없이 밥값 했다.
명함으로 클리어 했지만, 2초월에 버프 해제가 있어서 불사 지우기 매우 좋다.
스킬 강화는 패시브와 스킬2는 추천하는 편이다.
스킬1도 나쁜 편은 아닌 데 우선순위가 낮다. (평타 스킬 강화는 구린 게 맞다)
Ⅴ – 유신
착용 중인 장비 (세트효과) | 메인 옵션 | 부 옵션 |
무기1 (조율자) | 효과 적중% | 막기 확률% + 모든 공격력% |
무기2 (조율자) | 생명력% | 속공 |
방어구1 (조율자) | 막기 확률% | 속공 + 막기 확률% |
방어구2 (조율자) | 막기 확률% | 속공 |
스펙 요약) 초월 – 2초월 | 조율자 – 효생막막 | 궁극 강화 O | 스킬 강화 X
유신은 이번 공략에 있어서 ‘조커’라고 말할 수 있다.
패시브로 효과 적중 증가 + 피해 면역을 가지고 있어서 기도를 잘 들어주게 만든다.
여기에 2초월 효과로 스킬1을 쓰면 마비를 걸면서 아군은 디버프를 해제하는 지리는 희비 교차를 보여준다.
피해 면역(생존) + 디버프 해제 + CC 스킬 + 기도 메타 UP = 조커 픽
조율자 세팅을 통해서 첫 턴 공격은 행동 제어 면역으로 CC가 걸리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다른 영웅이 감전이나 즉사를 처맞아도 풀 수 있다.
PVP 컨텐츠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마찬가지로 속공 위주로 세팅했다.
효적과 생명력 막기를 골고루 배치해서 생존과 CC 스킬 둘 다 어느 정도 신경 썼다고 말할 수 있다.
전략상 디버프 해제를 위해서 2초월은 필수로 요구된다.
스킬 강화는 효과가 미미하다고 생각해서 우선순위가 낮아 패스했다.
스킬 우선 순위 | 사이클
핵심 포인트와 스킬을 몇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다.
1라운드는 ‘연희 – 영면’을 사용하면 대부분 리나가 먼저 스킬을 사용할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잡으면 된다.
나머지는 다 괜찮은데 린의 혼란과 멜키르의 기절은 이번 턴에서 아끼는 것이 안정성이 높았다.
2라운드는 린 혼란 -> 멜키르 기절 -> 멜키르 역류 순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주의점이 있다면 파이가 부활할 때 무조건 CC 우선으로 박아줘야 한다.
엥간 미친 캐릭이라서 파이가 스킬 쓰면 대부분 리트 난다.
3라운드는 진흙탕 싸움이다. 본격적으로 세계관을 찾아야 한다.
어떤 식으로든 ‘혼란’과 ‘기절’ 그리고 ‘마력 역류’를 우겨넣어야 한다.
아군이 죽으면 죽을수록 불리하기 때문에 뒤질 것 같은 영웅부터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CC 스킬 위주로)
무한의 탑 190층 클리어 후기
앞서 말했지만, 1~200층 중에서 가장 힘든 난이도였다고 생각한다.
190층을 깨기 위해서 트라이를 정말 많이 박았다.
마덱은 물론이고, 태오 공덱, 즉사 방덱, 면역 캐릭까지 돌아가면서 사용해 봤다.
결국 마덱으로 세계선을 찾아서 클리어할 수 있었다.
마덱을 제외하면 즉사 방덱이 가장 클리어에 근접했던 것 같다. (크리스 녹스 루디 리나 룩)
190층을 깨고 싶어서 찾아봤던 공략은 대부분 태오나 연희가 스펙이 높았다. (초월, 장비 등등)
내가 클리어한 스펙은 평균 2초월로 유의미한 데이터라고 생각해서 글을 쓰게 됐다.
각 영웅의 스펙과 장비를 적어놨으니 참고해서 클리어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별깽 EXP – 세븐나이츠 관련 글 ◀
세븐나이츠 리버스 파멸의 눈동자 10단 오토 공략 | 2025
-해당 글은 커뮤니티에서 흔히 추천되는 덱과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직접 고민하고 다양한 정보를 참고하여 실험한 클리어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하나의 참고 예시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레이드 장비 개편 업데이트 반영 (2025.08.21)파멸의 눈동자...
세븐나이츠 리버스 강철의 포식자 10단 오토 공략 | 에반 빌드
-해당 글은 커뮤니티에서 흔히 추천되는 덱과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직접 고민하고 다양한 정보를 참고하여 실험한 클리어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하나의 참고 예시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강철의 포식자 레이드 살펴보기 강철의 포식자 기본 정보 강철의...
해당 글은 2025년 08월 26일 최종 업데이트 되었습니다.